목록협업 (7)
능히 해낼 수 있다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전체 개발기간은 40일이라고 봐야하지만 순수 FE단 개발기간은 20일이었던 3D자산 이커머스 Neuroid-Asset(뉴로이드 에셋)프로젝트가 끝났다(사실 안 끝났다고 봐야한다). 어떤 프로젝트든 아쉬움이 남지만 이번은 아쉬움보다는 결과적으론 끝냈다는 것과 든든했던 팀원분들 덕분에 성취감이 아주 조금 더 크다. 0. 협업 서비스 기획과 디자인 등이 정해진게 아니었기 때문에 프로젝트 초반엔 기획 및 와이어프레임, 디자인이 빠른 호흡으로 진행이 되어야 했다. 작업 기한이 촉박하다는걸 PM분들이 예상을 하고 계셨다. 일정을 최대한으로 당겨주시려고 노력해주신 덕분에 기획문서들을 빠르게 받아 개발팀 전체가 기능에 ..

✍️✍️✍️ 위 글은 작성자의 개인적인 경험이니 가볍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푸념과 하소연에 가깝기 때문에 내용이 엄청 깁니다 지난 번 작성한 글에 이어 프론트엔드 팀 내에서 어떤 경험을 했고 해프닝이 있었는지 작성해보려한다. 재밌는 내용!?이 궁금하시면 2번부터 읽어보시길 권해드린다. 아래 전체 팀협업 경험 글에 대해 첨부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지난 글을 참고해 주시길 :) 230612 협업에 관하여 - 전체 편 ✍️✍️✍️ 위 글은 작성자의 개인적인 경험이니 가볍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모든 포지션이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어 한 사이클을 돌려보는 40일짜리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UX/UI를 제 ronieo.com Team SMASH 프로젝트가 절반정도 진행 될 때 팀원이 꾸려졌다. 두 프로젝..

✍️✍️✍️ 위 글은 작성자의 개인적인 경험이니 가볍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모든 포지션이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어 한 사이클을 돌려보는 30일짜리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UX/UI를 제외한 포지션당 4명의 인원이 참여해 총 15명의 인원이 참여하는 나의 경험 중 대규모 프로젝트인 만큼, 포지션마다 리더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PL님의 말씀에 따라 싱크업 미팅 때 나는 프론트엔드 리더(이하 FE리더)가 되었다. 1. 타 포지션과 미팅 TeamSMASH 개발이 한창이던 5월 중순, 모든 파트팀원들이 처음 만나는 싱크업 미팅이 진행 됐었다. 당시 첫 백엔드(이하 BE)와의 협업이었기 때문에 소통하는 부분에 있어 정신이 없는 상황이었다. 그래서그런지 첫 미팅이 스트레스로 다가왔었다(한꺼번에 여러정보를 정리해야..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 위 글은 작성자의 개인적인 경험이니 가볍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프로젝트 관련글을 두달만에 작성하게 되었다. 사실 3월과 4월에 리액트 관련 토이플젝을 진행하긴 했었지만, 당시 나의 리액트 이해도가 글을 쓰고있는 현재 시점보다 좋지 못했다. 때문에 3월에 진행했던 개인 토이플젝의 완성도와 4월에 진행했던 팀 토이프로젝트에서의 기여도가 높지 못해 회고글을 작성하기가 민망한 관계로, 우선 최적화를 진행해보고 난 후에 후기 정도의 글로 올해 안에 작성해 보는 것이 목표로 하고 보름간의 프로젝트에 대한 글을 시작 해 보겠다. 0. 시작 5월엔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는데, 근태관리 서비스를 만들..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오늘로서 딱 2주차가 된 한달 짜리 프로덕트 배포 프로젝트. 2주차 까지 진행하는 동안 깨알같이 프로젝트의 도움을 준 깃헙 기능인 projects를 소개 및 기록하려 글을 작성한다. 더 나아가 위 기능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 접하긴 했는 데 프로젝트 기능을 생성한 사람에게 또 질문하기 곤란한 사람들에게 바치는 글이다 ;) 우선 아래 깃허브의 깃프로젝트 기능사용 공식문서 링크를 첨부하니 더 자세한 내용을 참고하실 분들은 들어가서 살펴 보면 좋을 것 같다↓↓↓↓↓↓↓↓ 프로젝트 만들기 - GitHub Docs Projects는 GitHub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신 상태를 유지하는 적응 가능한 항목 컬렉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