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숙달 (7)
능히 해낼 수 있다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숙·메(숙달을 위한 메모)글을 적으면서 불변성에 대한 이야기는 다루지 않은 것 같아 기억하기 위해 작성해 본다. Immutability(불변성)이란, 단어 그대로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데, 한 번 생성되고 나면 그 뒤에는 변할 수 없고, 이 값은 메모리영역 안에서 변경이 불가하고, 변수 할당 될 때, 완전히 새로운 값이 만들어져 재할당된다 (내가 이해한대로 풀어 설명해보자면 같은 메모리 주소에 새로운 값이 들어 가기도 하고 + 겉모습이 같기도 해서 true가 나오기도 한다!) 데이터는 크게 원시형, 참조형 데이터가 있다. 원시데이터 : String, Number, Boolean, undefined, n..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문 이라고 끝나는 것을 Statement(구문)라고 한다 가령 if, else if, switch, for, for in, while 등등 여러 구문이 있다 1. if 문 예시 function isPositive(number) { if (number > 0) { //피연산자 > 피연산자 return '양수' } //return undefined가 생략 } console.log(isPositive(1)) // >> 함수가 호출되면 데이터가 남음 '양수' console.log(isPositive(10)) // >>'양수' console.log(isPositive(-2)) // >> undefined 2. i..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코딩짤때 필요한 statment(~문). 그 과정에서 피처링되는 인수(argument)와 매개변수(parameter), 함수, 메소드 기타등등 들... 원하는 이벤트를 보여주기위해, 가령 몇번을 반복할지 몇번 반복했을 때 멈출건지 기타등등 포포몬스가 필요할 때 저 위의 요소들은 불가분이지만 이 과정에서 '몇번', '몇번째' 등 이런것들을 산출 하기 위해선 계산을 해야한다. 그래서 연산자가 필요하다. 계산을 해야하고, 산수적인요소들어가다보니 가끔가다가 머리가 꼬일때가 왕왕 있다. 그냥 statment흐름 자체를 이해 못하는 걸지도? 아무튼, 연산자는 어려운것들은 없고, 이런식으로 표현한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String은 문자, 또는 문자열이라고도 불리는 단어인데 " " : 큰따옴표 ' ' : 작은따옴표 ` ` : 백틱 안에 들어가는 모든 것들을 문자, 또는 문자열 이라고 보면 되겠다. String에 사용하는 메소드도 배열과 숫자처럼 다양한데, 개인적으로 예시를 보는 것이 당연히 더 기억에 잘남고 이해가 되기 때문에 예시를 들고 왔다. // .indexOf() : 문자열 안에 괄호 안에 들어가는 값이 없다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옴 const res = 'Hello world!! hier is korea'.indexOf('was'); console.log(res);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 -1 반환 /..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아뭍따, 백문이불여일견이라 했다. 바로 예시와 설명을 들어가겠다💪 const pi = 3.14159265358979; console.log(pi); // 3.14159265358979 const str = pi.toFixed(2); //숫자데이터에 사용하는 메소드: 숫자 몇번째 자리까지 유지할건지, 대신 string으로 타입이 바뀜 console.log(str); // 3.14 console.log(typeof str); // string const integer = parseInt(str); // 전역함수 정수반환 const float = parseFloat(str); // 전역함수 소수점유지 conso..